이슈/생활정보

👶 2025 부모급여 vs 육아휴직 수당, 어떤 게 더 이득일까?

생활인 클래스 2025. 6. 10. 18:54

“육아휴직 쓰면 부모급여 못 받나요?”
“전업맘은 부모급여가 최고라던데…?”
“맞벌이면 뭐가 더 유리한지 모르겠어요”

2025년 기준, 정부가 제공하는 대표 육아지원금은 크게 두 가지입니다:
✔️ 부모급여 (현금)
✔️ 육아휴직 수당 (고용보험 기반)

오늘은 이 두 제도를
🔹 누가 받을 수 있고
🔹 얼마나 받을 수 있으며
🔹 동시에 받을 수 있는지
정확히 비교해 드릴게요!



📌 1. 부모급여란?

0~1세 자녀 양육 가정에 지급되는 현금성 지원입니다.
2025년 기준, 작년보다 금액이 인상됐습니다!

자녀 연령  금액 (2025년)  비고
만 0세 (0~11개월)  월 100만 원  현금 직접 지급
만 1세 (12~23개월)  월 50만 원  마찬가지 현금 지급

✔️ 소득 제한 없음 / 누구나 신청 가능
✔️ 부모 중 누구든 수령 가능 (전업맘·맞벌이 모두 OK)



💼 2. 육아휴직 수당이란?

고용보험 가입 근로자가 육아휴직 중 받을 수 있는 급여입니다.

기간 금액 (2025년 기준)
1~3개월  통상임금의 80% (상한 월 150만 원)
4~12개월 통상임금의 50% (상한 월 120만 원)

✔️ 실급여는 상한선/하한선 내에서 조정
✔️ 고용보험 180일 이상 가입 조건 필수



🤝 부모급여 vs 육아휴직 수당 비교 요약

항목 부모급여   육아휴직 수당
지급 대상 0~1세 자녀 있는 모든 가정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
금액 월 50만~100만 원 최대 월 150만 원
기간 자녀 기준 (0~24개월)  근로자 기준 (최대 12개월)
소득제한 없음 없음 (단, 고용보험 가입 필수)
중복 여부 동시 수령 불가 택1만 가능

📌 핵심 요약:
→ 육아휴직 수당을 받고 있는 동안에는 부모급여를 받을 수 없습니다.
→ 단, 육아휴직을 끝내고 다시 집에서 육아하면 그때부터 부모급여 수령 가능!



💡 상황별 추천 가이드

✅ 1. 전업맘/전업파파
• 고용보험 X → 육아휴직 수당 신청 불가
• 부모급여 100% 수령 가능
• 추천: 부모급여 활용 + 지자체 추가수당 병행



✅ 2. 직장맘/직장파파 (고용보험 가입자)
• 육아휴직 사용 시: 수당 선택 → 육아휴직 수당 추천 (최대 150만 원 가능)
• 단, 복직 후 남은 기간 동안 부모급여 전환 수령 가능



✅ 3. 맞벌이 부부
• 부모 각각 육아휴직 가능 → 동시 사용 시 수당 각자 지급
• 한 명은 육아휴직, 다른 한 명은 부모급여 수령 가능
• 부부 조합 설계에 따라 최대 수령액 달라짐



🧾 자주 묻는 질문 (FAQ)

Q1. 육아휴직 중 부모급여 받을 수 있나요?

→ ❌ 중복 수령 불가
육아휴직 급여 받는 동안은 부모급여 지급 정지됨



Q2. 육아휴직 끝나면 자동으로 부모급여 주나요?

→ ❌ 아니요.
다시 부모급여 신청해야 하며, 육아휴직 종료일 기준으로 재산정됩니다.



Q3. 부모급여는 꼭 엄마가 받아야 하나요?

→ ❌ 아닙니다.
부, 모, 조부모 중 실질 양육자라면 신청자 명의로 수령 가능



Q4. 지자체에서 따로 주는 돈도 있던데요?

→ ✅ 서울, 경기, 부산 등 출산/양육지원금 따로 지급하는 지자체 많음
👉 부모급여 + 지자체 출산축하금 중복 가능



📝 마무리 요약

항목 부모급여   육아휴직 수당
유형 현금 지원 고용보험 기반 급여
중복 ❌ 불가 ❌ 불가 (택1)
수령 기준  자녀 나이  근로자 자격
최적 대상  전업 부모  직장인 부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