👶 2025 부모급여 vs 육아휴직 수당, 어떤 게 더 이득일까?
“육아휴직 쓰면 부모급여 못 받나요?”
“전업맘은 부모급여가 최고라던데…?”
“맞벌이면 뭐가 더 유리한지 모르겠어요”
2025년 기준, 정부가 제공하는 대표 육아지원금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:
✔️ 부모급여 (현금)
✔️ 육아휴직 수당 (고용보험 기반)
오늘은 이 두 제도를
🔹 누가 받을 수 있고
🔹 얼마나 받을 수 있으며
🔹 동시에 받을 수 있는지
정확히 비교해 드릴게요!
⸻
📌 1. 부모급여란?
0~1세 자녀 양육 가정에 지급되는 현금성 지원입니다.
2025년 기준, 작년보다 금액이 인상됐습니다!
자녀 연령 | 금액 (2025년) | 비고 |
만 0세 (0~11개월) | 월 100만 원 | 현금 직접 지급 |
만 1세 (12~23개월) | 월 50만 원 | 마찬가지 현금 지급 |
✔️ 소득 제한 없음 / 누구나 신청 가능
✔️ 부모 중 누구든 수령 가능 (전업맘·맞벌이 모두 OK)
⸻
💼 2. 육아휴직 수당이란?
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육아휴직 중 받을 수 있는 급여입니다.
기간 | 금액 (2025년 기준) |
1~3개월 | 통상임금의 80% (상한 월 150만 원) |
4~12개월 | 통상임금의 50% (상한 월 120만 원) |
✔️ 실급여는 상한선/하한선 내에서 조정
✔️ 고용보험 180일 이상 가입 조건 필수
⸻
🤝 부모급여 vs 육아휴직 수당 비교 요약
항목 | 부모급여 | 육아휴직 수당 |
지급 대상 | 0~1세 자녀 있는 모든 가정 |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 |
금액 | 월 50만~100만 원 | 최대 월 150만 원 |
기간 | 자녀 기준 (0~24개월) | 근로자 기준 (최대 12개월) |
소득제한 | 없음 | 없음 (단, 고용보험 가입 필수) |
중복 여부 | 동시 수령 불가 | 택1만 가능 |
📌 핵심 요약:
→ 육아휴직 수당을 받고 있는 동안에는 부모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.
→ 단, 육아휴직을 끝내고 다시 집에서 육아하면 그때부터 부모급여 수령 가능!
⸻
💡 상황별 추천 가이드
✅ 1. 전업맘/전업파파
• 고용보험 X → 육아휴직 수당 신청 불가
• 부모급여 100% 수령 가능
• 추천: 부모급여 활용 + 지자체 추가수당 병행
⸻
✅ 2. 직장맘/직장파파 (고용보험 가입자)
• 육아휴직 사용 시: 수당 선택 → 육아휴직 수당 추천 (최대 150만 원 가능)
• 단, 복직 후 남은 기간 동안 부모급여 전환 수령 가능
⸻
✅ 3. 맞벌이 부부
• 부모 각각 육아휴직 가능 → 동시 사용 시 수당 각자 지급
• 한 명은 육아휴직, 다른 한 명은 부모급여 수령 가능
• 부부 조합 설계에 따라 최대 수령액 달라짐
⸻
🧾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육아휴직 중 부모급여 받을 수 있나요?
→ ❌ 중복 수령 불가
육아휴직 급여 받는 동안은 부모급여 지급 정지됨
⸻
Q2. 육아휴직 끝나면 자동으로 부모급여 주나요?
→ ❌ 아니요.
다시 부모급여 신청해야 하며, 육아휴직 종료일 기준으로 재산정됩니다.
⸻
Q3. 부모급여는 꼭 엄마가 받아야 하나요?
→ ❌ 아닙니다.
부, 모, 조부모 중 실질 양육자라면 신청자 명의로 수령 가능
⸻
Q4. 지자체에서 따로 주는 돈도 있던데요?
→ ✅ 서울, 경기, 부산 등 출산/양육지원금 따로 지급하는 지자체 많음
👉 부모급여 + 지자체 출산축하금 중복 가능
⸻
📝 마무리 요약
항목 | 부모급여 | 육아휴직 수당 |
유형 | 현금 지원 | 고용보험 기반 급여 |
중복 | ❌ 불가 | ❌ 불가 (택1) |
수령 기준 | 자녀 나이 | 근로자 자격 |
최적 대상 | 전업 부모 | 직장인 부모 |